

Elevation
Elevation
도시 조건에서 출발한 건축 태도
서울 노원구 공릉동은 밀도 높은 저층 주거와 상업시설이 혼재된 곳으로 불규칙한 풍경이 특징이다. 'Urbanlace'는 이러한 대지의 맥락을 회피하지 않고, 그 안에서 동선과 입면, 공간 구성 방식을 유도한 프로젝트로 주변 요소들을 배경 삼아 건물이 도시 일부처럼 작동하길 의도했다. 그 전략은 외부 계단, 반투명한 입면 그리고 복층 공간 구성으로 연결됐다.
Section
Site Plan
동선이 드러나는 입면, 거리의 흐름과 만나다
건물의 전면을 따라 수직으로 오르는 외부 계단은 금속 메쉬로 감싸져 있다. 외부 계단은 도시의 흐름과 사용자 동선을 시각적으로 교차하며, 내부 활동을 완전히 노출하지 않으면서 외부의 관심을 유도한다. 메쉬로 감싼 입면은 특히 저층 상업 공간의 시인성과 연결돼 보행자의 시선을 머무르게 하고, 건물 전체의 인지도를 높이는 형태로 계획됐다. 외피는 단순한 경계가 아니라 도시와 소통하는 매개체로 기능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Plan_B1
Plan_1F
실사용 유연성과 공간 효율의 교차점
각 층은 외부 계단으로 각자 출입할 수 있게 구성해 공용 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각 유닛의 독립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커튼월 입면을 사용해 개방성을 최대한 확보했고, 거리로 열린 전면 노출은 임대 선호도를 높이는 요소가 된다. 또한, 외부 계단실을 건물 외곽으로 분리해 내부 전용 면적을 극대화했다. 이는 임차인에게 높은 공간 자율성과 운영하기 편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옥상은 소규모 조경 공간과 테라스를 두어 회의나 비공식 미팅, 휴식 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열어뒀다.
Plan_2F
Plan_5F
도시 위에 섬세하게 스며들다
도시의 혼재된 풍경 위에 조용히 놓인 'Urbanlace'는 스며드는 방식을 택했다. 마친 거친 표면 위에 얹힌 레이스처럼, 주변 도시 요소들을 조율하며 시각적 균형을 만들어낸다. 조형을 강조하기보다 도시의 흐름과 관계에 주목하며, 외부 동선과 내부 공간, 거리와 사용자의 시선을 유연하게 엮어낸다. 도시 속에서 도드라지려 하기보다 풍경의 결에 맞춰 조심스럽게 응답한다.◼︎
Plan_7F
Plan_9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