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사진
시공사
Site Plan
풍경을 담은 집, 풍경 속에 담긴 집
남양주 단독주택은 신혼부부 두 사람이 한가족이 되면서 첫 보금자리로 지은 집이다. 산지 중턱에 세장한 땅에 자리 잡았다. 이 집은 멀리서 내려다보면 마치 산 속에 자리 잡은 암자나 오두막 같다. 멀지 않은 곳에 전원주택 단지와 고급 빌라들이 들어서긴 했지만, 집이 지어진 곳의 가까운 풍경은 여전히 울창한 수목으로 둘러싸여 있어 고요하고 아늑한 숲이 감싸 안은 것처럼 보인다. 도시 한가운데 있는 단독주택에서 누릴 수 없는 풍경과 고요함이 있다.
Elevation
Elevation
건축주는 단층의 집을 원했다. 또한, 미래에 있을 자녀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세 개의 방 정도가 있으면 좋겠다 했고, 가족들만 사용할 수 있는 옥상 마당이 있기를 바랐다. 그 중 단층 구성과 세 개의 방을 확보해달라는 요청 사항을 동시에 수용하기가 어려웠다. 단층에 세 개의 방을 모두 배치하는 것은 가능했다. 하지만 건축면적을 최대로 확보했음에도 집을 구성하는 모든 공간은 좁아질 수밖에 없었다. 대안으로 1층에 방 두 개와 거실, 주방, 욕실 등을 여유 있게 배치하고, 하나의 방을 다락 형태로 지붕 아래 두기로 했다. 안락한 다락 공간을 만들기 위해 지붕 형태는 자연스레 박공으로 귀결되었다. 옥상 마당을 두기 위해 안방 위는 평지붕으로 계획했다.
Section
Section
이 집은 영역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적인 외부 공간, 사적인 외부 공간, 공적인 내부 공간, 사적인 내부 공간이다. 먼저 공적인 외부 공간은 도로에서 들어오고 주차를 할 수 있는 진입 마당이다. 집에 들어서기 전 도로와 완충 공간 역할을 하면서 주차를 위한 공터가 있다. 마당 둘레로 높낮이가 다른 콘크리트 담장을 두어 경사진 도로를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집안 모습을 가릴 수 있도록 했다. 이 담장은 집터와 도로 영역을 구분하면서 마당을 감싸 안아준다.
진입마당을 지나 현관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서면 공적인 내부 공간 거실이 나온다. 거실은 박공지붕 형태를 그대로 살려 높은 천장 높이를 확보했다. 수려한 풍경을 내다볼 수 있도록 남쪽을 향해 큰 창을 열었다. 북측은 높은 위치에 창을 두어 뒤편 숲을 볼 수 있게 하고, 맞통풍이 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주방과 나누는 벽을 두지 않아 개방감을 주고 넓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Plan_1F
거실과 연결된 주방에는 동쪽에 배치된 싱크대를 따라 가로로 길게 열린 창을 두고, 남측으로 폴딩도어를 만들었다. 싱크대를 따라 열린 창은 진입 마당을 향해 있어 주방에서 집으로 드나드는 사람을 바로 볼 수 있게 했다. 남측으로 열린 폴딩도어는 식사하면서 집 앞에 펼쳐진 멋진 풍경을 조망할 수 있고, 완전히 개방하여 앞에 만들어진 테라스로 공간을 확장할 수도 있다. 춥거나 더운 계절에는 풍경을 담는 병풍이 되고, 열어두기 좋은 날씨에는 내부 공간을 바깥으로 확장시킨다.
공적 내부 공간인 거실과 주방에서 창을 열고 밖으로 나가면 사적인 외부 공간 테라스가 나온다. 이 테라스는 외부 공간 자체로 풍경을 가까이 즐길 수 있게 하면서도, 내부 공간을 바깥으로 확장시켜 더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한 편에 화로를 두고 앉을 수 있는 콘크리트 벤치 그리고 나무를 심을 수 있는 콘크리트 화단을 두어 테라스도 자체적인 기능을 부여했다.
거실을 지나 복도를 따라 안으로 들어가면 사적인 내부 공간이 있다. 현재는 건축주의 취미 공간으로 쓰이는 작은 방과 안방이다. 두 방도 남측을 향해 크게 열린 창을 두고 있으며 창을 통해 테라스로 나갈 수 있다. 다만 안방에 딸린 욕실은 내밀한 공간이기에 안방 사이 욕실만의 작은 중정을 두어 자연을 볼 수 있게 하면서도 프라이버시를 확보했다.
방과 거실을 연결하는 복도 중간에는 다락방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미닫이문으로 숨겨둔 계단을 통해 올라가면 다락방이 나온다. 다락방 상부에는 천창을 두어 찬장 높이가 높지 않더라도 답답하지 않으며, 낮에는 볕이 충분히 들고 밤에는 바닥에 누워 밤하늘을 볼 수 있는 특별한 곳이 될 수 있게 했다. 또한, 거실과 주방을 향해 창을 열어두어 아래층과 언제나 시각적 소통이 가능하다.
Plan_2F
다락방 한쪽에는 가족만을 위한 외부 공간인 옥상 마당으로 갈 수 있는 문이 있다. 안방 위에 있는 옥상 마당은 높은 난간 벽과 액자 프레임처럼 열린 개구부를 두어 외부 풍경이 더욱 극적으로 보인다. 액자 같은 개구부는 마당이나 테라스에서 펼쳐진 풍경과는 또 다른 풍경을 보게 해준다. 외부 시선으로부터 온전히 자유로우면서, 연출한 듯 담긴 풍경을 관망할 수 있는 곳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