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대표 이미지프로젝트 대표 이미지

금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프로젝트 대표 이미지프로젝트 대표 이미지

금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위치

    서울
  • 용도

    교육 시설
  • 외부마감재

    벽돌, 콘크리트
  • 구조

    철근콘크리트, 철골
  • 대지면적

    7842.60㎡
  • 완공연도

    2021
  • 건축면적

    -㎡
  • 연면적

    -㎡
  • 디자이너

    강제용, 강제용

 


우리 주변 대부분의 건물들은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구획되고 계획된 공간으로 같은 높이, 같은 창의 모습과 같은 마감으로 되어있다. 그렇다면 아이들이 처음으로 접하는 외부공간인 유치원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고민하였다. 다양한 생각이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이 모인 장소가 유치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기존 유치원처럼 단순히 다른 외관이나 색상을 가진 건물이 아닌,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Diagram_Concept


세모, 네모, 아치형의 동그라미 등 다양한 입면 모양을 평면과 입면에 적용하였다. 이 형태들이 외부공간과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공간을 경험하게 하여 그 공간에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들이 담길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분위기에서 학습 및 놀이 활동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크기의 내부 오픈 공간과 여러 모양의 입면의 창을 통하여 학교 내부에서도 아이들에게 다양한 공간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아이들은 유치원의 다양한 공간을 통하여 자기 생각과 활동으로 가득 채울 것이다. 외부 운동장으로 접근은 물론 실내에서도 대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4층에 강당 공간을 만들어 학교와 유치원에서 같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Diagram_Concept


Section


내부공간에서는 각층별로 교실들이 위치하며 각 교실에는 아이들이 손을 씻을 수 있는 공간과 화장실이 위치한다. 그리고 각층의 유희실과 그 사이 공간인 복도 공간에 책들을 수납하여 동선상에서도 아이들이 어디서나 독서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도서실을 따로 구획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활동 공간에서도 교실과 유희실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고 다양한 행사에는 복도공간과 유희실, 식당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면서도 대지의 특성상 학교 대지에 증축이기 때문에 외부 운동장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치원 시설과 강당을 사용함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최상층에 있는 강당은 기후의 변화에 상관없이 체육 활동이나 강당의 용도로도 사용하며 추후 외부 행사나 지역주민에게까지 개방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Site Plan


Plan


기존 후문 쪽의 주차장으로 활용되는 부지에 건물을 배치하여 운동장의 크기를 최대한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였으며 운동장 측에서 보았을 때도 기존의 학교의 재료인 치장 벽돌과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기하학적 입면으로 외부에서도 아이들의 다양한 활동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추후 주민과 같이 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도록 차량 출입구와 기존 정문 쪽에서의 접근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이 공간에서 아이들이 즐거운 생활은 물론 서로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다양한 이야기들이 생겨나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프로젝트 이미지 모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