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INTERIOR > SALON / SPA

Design

bang by min

Photographer

최정우

Location

서울

Miega

본문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3




Design: bang by min 
Location: Seongbuk-dong​, Seoul
Total Floor Area: 124.81㎡
Finish Material: Polishing Tile, Transparent Epoxy,  Oil-Stain on Plywood, Plaster Board,
Water Paint
Photogrpher: Jungwoo Choi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4

 

본 project는 전면부와 후면부의 고저차가 8m 이상 되는 대지 위에 완공된 신축 건축물의 지하층 상업공간에 위치하고 있다.지하층이지만 대지의 고저차에 의해 전면부가 도로에 접해 개방되어 있어 전면부에서는 진입에 있어 실질적으로 대지레벨로 인식되며 건축물의 선큰가든에 접해있어 빛의 유입이나 환기 등 밝고 쾌적한 공간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축을 계획한 건축가에 의해 건축물의 남겨진 공간에 대한 계획이 이루어짐으로써 건축가에게는 건축의 통합적 완성의 의미를 갖는 뜻깊은 작품이다.
‘Miega’ project는 건축가가 단순히 내부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의 연출과 디자인, programming, space developing에서 소품의 재현 등 모든 부분의 통섭적 creative directing을 새롭게 시도한 작업이기도 하다. 그것은 compact한 공간에서 한정된 적은 예산으로 이 지역의 cognitive map에서 방점을 찍기 위한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의도이기도 하다.


‘Miega’ project의 컨셉은 이 project를 품고 있는 건축물의 계획과 감리로 인해 여러 해 동안 이 지역을 자주 접하고 비슷한 강북 구 시가지의 다른 지역을 접하면서 느낀 우리들 기억 속의 마을, 즉 ‘동네’에서 시작한다.


서울이 스카이라인을 만드는 새로운 초고층 건물들로 채워지기 전의 모습들 – 골목풍경과 차분한 정주환경이 함께 어우러져 정취가 있고 이웃과 정이 넘치는 - 오래된 커뮤니티를 유지하는 잇는 ‘동네’를 재현하고 싶었다. 그 동네 속의 미장원은 이웃들의 사랑방이자 cultural & public한 community를 만드는 공간이었다.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4



기존의 대형화되고 체인화된 hair salon들은 토탈 뷰티샵을 지향하면서 space programming & developing의 진화와 각 개인들에 대한 심리적 대응 없이 단순한 service적 차원에서의 편의성과 환경시설 자체의 고급화된 인상으로 차별화를 추구하는 국부적인 경쟁 및 발전만 계속되어 왔다. 그 결과, 고객들의 내 집이나 방 같은 사적 영역에서 느끼는 편안함과 정체성의 표현은 어려워지고 고급화된 대중적 시설로 연출되어 체험되어 왔다.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4


​​

이에 ‘Miega’는 고급적 치장에 치우친 2차원적인 표현이 아니라 새로운 유행과 행태를 유발시키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3차원적인 공간디자인적 접근방법으로 수평적으로 형성된 오래된 community를 유지하고 있는 동네를 재현하였다.


개인이 갖는 최소한의 private한 단위의 집들이 길과 골목, 모퉁이, 상점들과 함께 형성되어 공공적인 community를 형성한다.


이것을 내재적 관점에서의 공간인 House 안에 구축함으로써 감각적 짜릿함보다는 인간적인 스케일의 공간들 속에서 느끼는 내 집 같은 편안함과 여러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적 시설들을 개인의 공간처럼 느낄 수 있게 하였다.​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4

 

‘Miega’를 형성하는 요소들인 골목과 마당, 집들은 사용자들을 관찰자로서, 또는 계속 움직이게 만들어 새로운 행태를 유발하고 공간을 경험하게 한다. 집들로 이루어진 각 unit들에는 각기 비규칙한 frame들이 구성되어 있는데 각기 다른 unit과 공간들에서 사람들의 움직임과 행태들의 시점들에 따라 형성된다.


Frame들은 동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풍경들 – 사람들의 행태, 움직임들의 실루엣 등의 연출 – 과 frame의 중첩들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의 구현 등을 재현하고 시각적으로 연결된 공간단위들의 연속을 관찰하게 되는 경험을 제공해준다.


Frame들은 연속적이고 비규칙적으로 교체되고 다층화되어 공간의 경계와 움직임의 이미지들을 모호하게 만든다.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4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5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6

 


건축물의 내부 공간 속에 내재적 관점의 마을로서 계획되어진 ‘Miega’는 보다 인간적인 스케일의 공간으로 기존 unit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용도의 프로그램과 컨텐츠 (private party, exhibition, gallery, café, flea market 등…)을 사용자의 행태 및 유형에 따라 고정된 틀이 아니라 유동적이고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가변성을 갖는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Miega’의 가장 큰 특징은 동네 만들기가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일이며, 동네가 공동체의 구체적 표현이라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7

 

‘Miega’의 전면 접이식 창은 항시 개방될 수 있고, ‘Miega’에서 처음 대면하게 되는 공간은 일반적인 reception이 아니라 ‘Relaxing’이다. 공간의 프로그램도 시퀀스도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동네 주민 모두에게 열려 있고 누구나 와서 즐길 수 있는 – 어쩌면 ‘Miega’는 ‘동네 within 동네’ 혹은 ‘동네 속의 작은 community’의 시작을 알리는 첫 걸음일 수도 있다.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7

 

 

 

89749a4ad7d5d765956d315e987c3972_1444277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