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PPAGES
본문

Design: Shadowmakers
Location: Chungdam-dong, Gangnam-gu, Seoul
Total Floor Area: 315㎡
Finish Material: Wood Flooring, VP, Exposed Concrete, Stuco
Project Year: 2011
Photogrpher: Jaeyoun Kim
벽들은 서로 단차를 두고 어긋나거나 서로 경사를 두도록 배치되었으며 동선을 따라 예각을 이룬다.
이 프로젝트는 크게 세 가지 기능적인 맥락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기능적으로 필요한 실을 구획하면서도 시각적으로는 오픈된 공간으로 만드는 것을 중점에 두고 전체 공간을 배치하는 것. 전체 공간은 삼면이 창으로 둘러싸여 있어 여러 실들을 배치하는 작업이 쉽지 않았다. 각 실은 전체공간의 모서리와 벽 부분으로 최대한 모아서 구성하여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창을 가리지 않는 선에서 구성되었다.
두 번째는 대기공간이 고급스러우면서 편안한 분위기로 연출될 것. 고객이 첫 대면을 하게 되는 리셉션 공간과 대기공간은 전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자 서비스 공간이다. 이 공간에 전체 공간에 대한 개념과 이미지를 부각시켜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는 공간의 조도이다. 평균적인 미용실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최대한 조도를 낮추고 고객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기능적으로는 위의 세 가지 내용을 중점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공간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다.
공간개념이 이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작업과 부합되기를 원했다. 자연스럽게 그들의 작업을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공간작업은 시작되었다. 헤어 디자인의 행위를 컷과 펌 그리고 그것에 의해 만들어지는 형상으로 이해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컷은 머리카락의 단차들을 만들고 조합하여 머리결에 속도감을 불어넣는 행위로, 펌은 그렇게 만들어진 머리결에 방향의 전환을 만들어 내고 이 둘의 상호작용으로 특정한 형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형상들 중에 우리는 2009년에 발표된 영국 비달사순 아카데미의 작품들을 통해서 트랜드를 선도하는 형상이 ‘비대칭적인 형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개념들에서 우리는 공간을 이룰 물성을 찾기 위해 몇 단계의 수학적인 방식을 거쳐 결과적으로 원하는 물성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렇게 얻어진 공간의 핵심적인 컨셉은 단차의 조합, 방향의 전환 그리고 이 둘의 상호작용으로 얻어지는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