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 Dining Residence
본문
Design: LEEWOOJIN ASSOCIATES
Location: Sincheon-dong, Songpa-gu, Seoul
Buliding Area: 195㎡
Finish Material: Wood Flooring, Wooven Tile, Wooven Fabric, Marblecoat, Wood Veneer
Teak, Stone, Wallpaper, VP, Barrisol
Project Year: 2014
Photographer: Inwoo Yeo
디자인 콘셉트
클라이언트의 라이프 스타일에 촛점을 맞추었음
1. DINING PARTY: 비지니스상 해외 본사직원(headquarters)의 가족들과의 격식있는 파티(와인셀러 STOCK / 냉장고 / SECOND DINING)
2. GET-TOGETHER: 주변의 가족, 이웃들과의 잦은 모임
3. LIBRARY: 다수의 콜렉션(작품, 오브제)의 소장공간이며 서재 자체가 디자인의 요소가 되도록 디자인
4. MELODY: 주부의 취미-피아노, 노래연습, 음악감상
5. ART: 주부의 모친이 화가 / living, dining, kitchen, master room 어느 곳이든지 art work공간을 배려
거실 겸 서재에 포커스를 맞추어 디자인
1. 가족구성원: 부부 & 15세 자녀 총3명
2. 기존의 4베드룸을 2 bedroom + dress room + second dining으로 변형
3. DESIGN KEYWORD: 파티전용 second dining
와인파티(가족을 동반한 비지니스, 가족, 이웃, 친구모임), 음악연주 및 감상
주거 공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주거공간을 사용하는 가족구성원의 라이프 스타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늘 클라이언트의 삶이 투영되는 디자인을 하려고 노력한다.
천장 디자인이 주거 공간으로서 파격적으로 디자인한 이유
과거에 상업시설을 디자인을 의뢰해 왔던 클라이언트의 주거공간이다. 상업시설 디자인 의뢰 경험이 있다보니 주거공간에도 임팩트 있는 디자인의 요소를 원하였고 주거공간에서 기능적 편안함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를 리빙공간의 천정으로 선택했다. 특히 주부의 모친이 아티스트여서 시각적 분할이 정형화되지 않도록 디자인하려 했다.
Floor Plan
클라이언트의 요구와 개성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1. 클라이언트는 해외 출장시 자주 이용하던 공간(호텔)의 디테일한 감성을 화두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주거공간에 있어 감성적인 질감의 마감, 특히 욕실의 거주성과 독립성에 대해서도 특별한 요구들이 있었으며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었던 공간을 시각적으로 일체화, 확장화 되도록 디자인하려 했다.
2. SECOND DINING
비지니스와 관련된 특별한 파티(특히 가족을 동반한), 회사의 직원들의 가벼운 모임(회식), 이웃 또는 가족들과의 모임을 내집에 초대해서(주거공간에서) 하고 싶은 욕구가 있었고 구조적 접근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2의 다이닝 겸 ART WORK공간으로 제안 디자인하였다.


디자이너가 추구하는 디자인 철학은
비워라 비워야 채울 수 있다. 채웠으면 또 비워라.
요즘 생각이 그렇다. ■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