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dingbox
본문
Design : CHIASMUS
Architect : HyunHo Lee
Location : Dongmundaero, Buk-gu, Gwangju, Korea
Site Area : 5,382 m²
Building Area : 2,495 ㎡
Total Area : 4,959 ㎡
Structure : RC
Finish Material : Architectural Concrete, Grey Brick Paving(exterior), Wood Flooring (interior)
Paint(White+Gold), Tiles, Fabric
Project Year : 2017
Photographer : NamSun Lee
Site Plan

결혼의 의식은 대부분의 사회에서 그 문화의 가장 오랜 시간 축적된 삶의 양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한 사람의 삶에 있어서도 가장 큰 변화의 순간을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함께 하는 공동체 의식이기도 하다. 따라서 결혼의 무대는 의식주로 대표되는 삶의 전반의 모습을 보여주며, 한국의 결혼문화 또한 서구적 웨딩드레스와 턱시도의 버진로드를 행진하는 예식 공간을 중심으로, 하객을 맞이하는 신부대기실과, 로비 홀, 전통혼례를 행하는 폐백공간을 포함하며, 결혼식에 참여하는 모든 하객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며 인사를 하는 피로연의 공간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변화하는 결혼의 문화는 버진로드가 하객들과 함께하는 무대의 역할을 하기도하며, 이와 같이 주인공이 아닌 하객들의 결혼 예식에의 적극적인 참여와, 사회적인 교류의 공간을 제공하며, 여기에는 모든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의 휴식과 만남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떠나 다양한 형태의 결혼 예식이 생겨나고 있다.


Section

웨딩박스는 이와 같이 다양한 의식들과 많은 행위의 공간들을 모아 하나의 결혼의식으로 모아내는 매트릭스이다. 웨딩박스는 이렇게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담은 여러 규모의 공간들을 모은 하나의 박스일 뿐 아니라, 전통과 변화하는 삶의 모양을 담은 다양한 시간들의 공간들을 모아놓은 박스이고, 그리고 이 의식에 참여하는 여러 세대들의 이야기들의 박스이기도 하다.




웨딩박스는 수직으로 쌓인 14미터 높이의 두 개의 큰 장방형의 웨딩홀을 중심으로, 하객들이 만나고 인사하고 기다리는 로비공간과, 신부대기실 및 전통혼례를 위한 폐백공간과 서비스 공간이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공간들의 시간적 매트릭스는 예식의 순서에 따라 수평과 수직적으로 배열되며, 한 시간 간격의 다음 예식을 위하여 수직 동선을 이용하여 피로연 공간으로 이동한다. 전문 웨딩홀로서 하루 10여 차례의 예식과, 5000여 명의 동선은 만남과 예식, 폐백과 피로연의 공간으로 막히지 않는 흐름을 가지게 된다.



Plan _ 1F

Plan _ 2F


이 두 개의 웨딩홀은 기본적으로 블랙박스로서 변화하는 다양한 결혼 문화를 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세팅과 이벤트를 할 수 있는 조명과 음향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모든 형태의 종교적, 사회적 의식에 맞추어 예식을 진행할 수 있는 다목적 이벤트 홀이다. 동시에 진행되는 두 개의 결혼식의 하객을 위한 피로연 공간은 지하에 2,000석의 테이블과 대형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대형 피로연 공간은 테이블 상부의 대형 띠 창 함께, 건물 전체를 수직적으로 관통하여 피로연 공간이 둘러싸는 금색의 광장으로 지하공간에 충분한 채광과 쾌적함을 가져온다.




Plan _ 3F


지하 1층에 위치한 이 금색의 광장은 도시의 Piazza와 같이 기능하여, 하객들의 휴게공간이면서, 사회적 공간이며, 여기에는 때로 야회의 결혼의식을 진행하는 공간이 된다. 이 공간은 내부화된 광장으로 사면의 창문들이 내려다보는 아트리움이며, 지하 피로연공간의 휴식과 빛을 제공하는 선큰 가든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은 수직적으로 웨딩홀의 모든 바닥과 외부 나선계단을 통하여 직접 연결되며 또 하나의 외부 결혼 의식 및 파티공간인 옥상 광장으로 연결된다.



웨딩박스는 광주 북동부의 외곽의 주거지역의 가운데 위치하며, 대지의 북측으로 금색 광장의 커다란 세 개의 아치를 통하여 도시 공원으로 연결된다. 대지의 주변은 낮은 담장의 작은 주거지역의 건축물들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인지성은 하나의 정육면체로 계획되어 대지의 모든 방향에서 용이하게 확보된다. 서구화된 결혼 문화와 세계화로 인한 젊은 연령의 결혼 세대에 있어서, 도시의 작은 광장인 Piazza와, 평원에 서있는 성과 같은 형태적 상징은 아치형태의 창들과 함께, 로맨틱한 기억의 배경으로서 기능을 한다. 하나의 순수한 콘크리트 재료의 단순한 기하학적 정육면체는 결혼 의식의 순수함과 공고함을 상징하며, 웨딩박스의 이러한 형태적 상징은 기억의 배경으로서 시간적인 매트릭스를 만들어낸다. 또한 공동체 의식으로서 예식은 도시의 공동체 공간으로서 사회적 기능을 담보해내는 공간을 제공하며 도시의 매트릭스를 구성하게 된다.



건축의 형태는 내부의 기능뿐 아니라, 건축물 외부세계의 변화하는 시간적 양태를 담은 외부의 사회적 문화적 기능 또한 따라야 한다. 그리고, 또한 한 사람의 삶에서 가장 소중한 기억의 배경으로서 웨딩홀은 이러한 기능들을 담는 박스일 뿐 아니라, 기억을 담는 박스이며, 도시 구성원의 다양한 삶과 기능을 담고, 한 문화공동체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담는 박스이다. ■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