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OFFICE

Photographer

김재윤

Location

충청남도 공주

애터미 공주 사옥

본문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4
 

Design : L’EAU Design

Architect :  DongJin Kim

Location :  Baekjemunhwa-ro, Gongju-si, Chungcheongnam-do, Korea

Site Area : 26430 ㎡

Building Area : 5200.39 ㎡

Total Area : 9722.16 ㎡

Structure : RC

Finish Material : : Exposed Concrete, Tilem, Brick

Project Year : 2019

Photographer : JaeYoun Kim​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6
 

파크 애드호크라시는 새로운 오피스 혁신의 제안이다.  

애드호크라시(adhocracy)는 전통적 관료체계(bureaucracy)와는 달리, 융통성을 가지고 조직에 임의적으로 적응하는 혁신적인 조직구조 체계로서, 유연한 조직 운영체계를 말한다. 유동적이고 다중적인 관계성을 수용하는 현대사회에 맞는 유동적 업무 조직체계에 맞춰, 기존 오피스의 공간을 탈피하여 능동적인 선택에 의한 다중적 장소화를 통해, 자생적 관계를 생성하는 새로운 오피스 방식을 제안한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6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6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Sketch - 노마딕플렛폼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6
 

오피-루덴스(offi-ludens)는 놀이하는 인간, 즉 호모-루덴스의 회귀를 업무 공간에 대입한다. 애드호크라시적 관계형성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만남이 가능한 예측불가능하고 이질적인 요소가 병존하는 놀이하는 공간, 유희하는 오피스 공간을 만들어주어 구성원들로 하여금 동태적인 업무 방식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이를 통해 일과 삶의 경계를 허물어, 스스로 장소를 만들어나가는 능동적인 유기체를 만든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Sketch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유연한 자율적 형식체계(auto-poiesis system)의 구축을 통해, 다양한 연계를 하지 못하고 배타적인 도시환경을 이루고 있는 현대도시에, 내밀한 이야기를 품은 경계의 상자속에서 자기-생성(self-generation)적 관계들을 끊임없이 만들어낸다. 새로운 세계들이 공존하는 다중체(multiplicity)로서 도시의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길 기대해본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01. Offi - Ludens (오피루덴스), 일과 삶의 유연한 경계

호모-루덴스 Homo-ludens 란, 유희하는 인간’ 이라는 뜻으로, 요한 호이징어가 1938년 출간한 저서의 이름에서 유래.  일과 놀이의 구분을 흐림으로써 오피스 공간에 창의성(creativity)을 부여하고, 그들 스스로 일과 삶 사이의 유연한 경계를 형성하여, 지속가능한 일상 속의 업무 환경을 마련한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Sketch -  호모루덴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Sketch - 까르트 블랑슈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7
 

02. 절대공간 vs 유연한 관계의 장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절대 공간’의 구조 틀 속에, 내부의 다변적 프로그램에 반응할 수 있는 다중적 장소화(multiversal placing)를 제안한다.  일정한 좌석 없이  호텔링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오피스는 부서별, 조직원 간의 역동적인 소통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사무 조직 생태계’가 가능하다. 또한 다변화하는 프로그램과 예기치 못한 활동 등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조직원간의 임의적 관계들이 자생적으로 생성된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Sketch - 비일상의 프롬나드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03. Normadic Platform _Self-Curating place

노마딕 플랫폼 Normadic Platform은 유동적이고 관계지향적인 현대적 오피스에  유목적 업무 환경을 제공한다. 이는 유목적으로 흩뿌려진 정적, 동적인 공간 사이에서 자발적 행위를 기다리며, 움직임과 멈춤을 조율하는 ‘유보의 장’을 형성한다. 비일상적인 우연성이 잠재된 장에서,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장소를 선택 (self-curating place)하며 스스로 일상을 만들어나간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Sketch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04. Parallax Effect

 - 다중적 시차를 통한 Criss-Crossing(상호 역교배)  ....내부

우연한 만남들이 비일상(Non-routine)적으로 충돌하는 내부의 업무공간은, 보이드 공간을 중심으로 다층적으로 시선이 교차되며 시점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며 움직이는 Parallax Effect가 나타난다.

 - 자연 환경과 다층적 관계 맺기  ....외부 

높이에 따라 다르게 마주하는 외부자연을, 층별로 단독적인(singular)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필터링한다.

- 2층 : 전면 커튼월 유리창을 통해, 둘러쌓인 외부 자연을 내부화한다.

- 3층 : 솔리드한 입면 사이로, 부분적으로 테라스와 중정을 오픈하여 외부 경관을 편집하여 유입한다.

- 4층 : 외부로 둘러싼 테라스가 멀리보이는 스카이라인과 함께 펼쳐지고, 

       하늘을 향해 열린 옥상정원이 사무환경을 내밀화한다.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Sketch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c36488bee5b36bb7b6145150f302f6da_1594808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