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RESIDENTIAL

Design

Tectonics Lab

Photographer

신경섭

Location

서울시 종로구

Cheongun Residence

본문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8
 

 

Design: Tectonics Lab

Architect: HyunDai Kim, SuKyung Kim

Location: Jongno-gu, Seoul
Site Area: 553.85
Building Area: 163.26
Total Floor Area: 313.11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Recycled Brick, Granite
Project Year: 2017

Photographer: KyungSub Shin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8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8
 

 

평생 학자의 길을 걸어온 건축주가 50년간 2대에 걸쳐 살던 옛집을 허물고 은퇴 후의 삶을 영위할 편안한 집을 의뢰했다. 대지는 서울 인왕산 아랫자락에서 북악산을 바라보는 아늑한 주택가로, 역사적 고도(古都)의 옛스러움과 한국 근현대사 미완의 정취를 동시에 머금고 있는 고즈넉한 터다. 선친이 직접 지은 주택을 허무는 일은 건축주에게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유년기부터 학창시절, 그리고 학자로서 살아온 건축주의 기억을 오롯이 간직한 이 집은 기쁨과 평화를 가져다 준 놀이터이자 안식처, 그리고 현재의 인격을 완성시킨 보살핌의 장소였을 것이다. 쇠락한 집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건축주는 고심 끝에 주택을 다시 짓기로 마음먹었다. 철거에는 사흘이 걸렸다. 목재 마루널과 격자살 창호 일부, 그리고 선친의 이름이 새겨진 문패는 건축주에게 돌려줘 옛집의 기억을 보존하는 매개체로 남았다.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설계 의뢰와 함께 건축주로부터 평면스케치 몇 장을 건네받았다. 스케일이 왜곡되고 공간의 연결이 부자연스러워 마치 어린 아이가 그린 그림같았다. 하지만 그 안에는 옛집에 대한 향수와 미래의 ‘집’에 대한 건축주의 생각이 오롯이 담겨 있었다. 집은 건축가의 이상향이나 자아를 표현하기보다 건축주의 과거를 기념하고 현재의 삶을 담아내며, 미래의 희망을 꿈꾸는 공간이어야 한다. 건축주가 그린 그림에 질서를 부여하는 일이 건축가의 역할이라 생각하고 설계를 시작했다.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이 주택의 기본적 공간 구조는 대칭적 질서와 중심형 공간의 원형인 3×3칸이다. 이 구조는 한국 전통 전각건축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서구에서는 르네상스 전후 나인스퀘어그리드(nine-square grid)라는 개념으로 정착된 보편적 공간 구조다. 3×3칸의 간소한 다이어그램 형태로 시작된 설계는 집의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실질적인 삶을 담아낼 수 있는 구체적인 공간 구조로 발전했다. 퇴임 후에도 학자로서 제 2의 인생을 꿈꾸는 건축주에게 집은 사적인 동시에 공적인 공간이다. 중심에 있는 1층 응접실은 가장 공적인 공간이다. 내부의 공간들과 수평·수직을 이뤄 평온한 질서를 부여한다. 응접실은 2층 보이드 공간과 3층 빛우물 공간으로 이어져 중심 공간을 따뜻한 빛과 차분한 공기로 가득 채운다.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3×3칸 구조를 배경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했다. 정중앙의 보이드(내부의 오픈스페이스) 공간을 축으로 하는 중심형 공간은 공적 영역을 구심형으로 집중시키는 동시에, 사적인 영역을 원심형으로 흩뜨려 내부 공간의 밀도를 조화롭게 유지한다. 1층 응접실은 주방 등의 서비스 공간과 게스트룸의 중심을 잡아준다. 거실, 온실, 그리고 옥외 정원으로 이어지며 공간의 긴장을 완화하는 동선의 리듬도 만들어낸다. 2층 보이드 공간은 집의 중심에 위치해 빛우물을 통해 유입되는 천공의 에너지를 실내 깊숙한 곳까지 차분한 호흡으로 전달한다. 좌측 침실 영역과 우측 서재 영역 사이의 대칭적 질서를 통해 개인의 삶과 학자로서의 사명 사이에 균형과 조화를 부여한다. 3층 빛우물은 다실(茶室) 정중앙에 있다. 다실은 3층 옥외공간의 한가운데 위치해 중심형 구성에 방점을 찍는다. 다실은 빛우물 벽으로 형성되는 공간의 압축과 조망창에 의해 원경으로 확산되는 공간의 이완이 조화롭게 공존해 시적 감응을 이끌어낸다.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학자인 건축주에게 중심형 공간 구조의 집은 디자인 옵션이 아닌 그의 삶을 담아내는 본질적인 형태에 가깝다. 견고하고 한결같지만 내면에는 부드러움을 지닌 중심형 공간을 위한 재료가 콘크리트로 정해진 것은 필연이었다. 콘크리트와 조화로운 대비를 이루며 부드러운 인상을 표현하는 재료는 고벽돌이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집을 보호하는 벽과 온실, 2층 베란다의 표면은 모두 고벽돌로 만들어 세월의 흐름과 함께 고색창연한 기품을 더해갈 것이다.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건축주를 위한 집에 대한 개념적인 생각들은 콘크리트와 벽돌의 재료적 물성에 대한 존중과 함께 ‘아치(arch)’라는 구체적인 건축 형태로 발현했다. 아치는 현관에서 ‘볼트(vault·반원형 천장이나 지붕을 이루는 곡면구조체)’의 형태로 동선 흐름의 궤적과 함께 한다. 응접실에서는 거실로 연결되는 공간의 확장을 걸러 아늑한 중심형 공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거실과 온실, 그리고 베란다의 아치는 남측 정원의 조경을 담아내는 프레임이다. 이는 강렬한 태양과 몰아치는 비바람으로부터 집의 중심을 보호하는 기능을 오롯이 해낼 것이다.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중심형 공간과 대칭적 질서, 그리고 대지의 환경적인 요인 등, 집은 명확한 정면성의 원리를 보여주는 외관을 갖는다. 북측 진입로에서 기단으로 인지되는 담장은 대문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실내주차장 입구, 우측에 실외주차장 입구를 가지며 집이 지니는 대칭적 구성을 암시하게 한다. 담장에서 조금 떨어져 위치한 북측 입면은 1층의 정 중앙에 위치한 현관 아치에서 시작해 3층 계단실의 아치창으로 이어지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적 구성을 가진다. 정원을 바라보는 집의 남측 입면 또한 1층 거실의 아치창과 2층 베란다 아치를 중심축으로 하는 대칭적 구조를 가진다. 집의 외관은 내부 중심형 공간의 질서와 프로그램적 균형에 의해 발현되는 것이다. 이는 집이 지니는 기능적인 복합성과 대지에 기인한 대립성에 대응하여 절대적이고 경직된 대칭이 아닌, 상대적이고 편안한 대칭적 균형에 이르게 된다.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Section



45af5cbab2ec3e6daf73e1cdb54adede_1513749
Plan​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