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RESIDENTIAL

Photographer

윤준환

Location

경기도 판교

Life Factory; 桶

본문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2
 

 

Design: NAMKEEBONG Architects​ 

Architect: KeeBong Nam

Location: Pangyo, Gyeonggi-do​
Site Area: 225
Building Area: 109
Total Floor Area: 174
Structure: Light Weight Wood Frame ​+ R.C
Finish Material: Brick, Stuco
Project Year: 2014

Photographer: JoonHwan Yoon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통(소통)하는 집, 이야기가 있는 집

공간 구성을 계획할 때 '어떤 집을 지을지' 보다는 '어떻게 살고 싶은지'에 관해 더 많이 고민하여 얻은 결론이 소통이였다. 이웃과 소통하고 가족과 소통하는 집을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봤고, 계획에 반영하도록 했다. 외부 공간구성은 보행자도로-마당-툇마루-주거, 보행자도로 - 마당- 스튜디오- 주거공간으로 접근을 유도하였고, 거실은 보행자 도로 변으로 항상 열려 있지만 마당, 툇마루, 스튜디오등의 완충공간을 통해 접근함도록 하여 어색함을 완화시켰다. 아이들이든 이웃이든 현관문보다는 마당을 통하여 툇마루, 스튜디오를 통한 접근이 더 많이 나오고 있다. 내부에서도 공적공간(스튜디오, 거실, 주방)은 1층, 개인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휴식을 위한 사적공간(침실, 욕실, 티비시청과 휴식을 위한 가족실)은 2층, 여분으로 주어진 다락에 실내 놀이를 위한 공간(아빠서재, 음악연습, 미술작업, 아이 독서 공간)을 배치하였다.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특히 내부 공간의 중심에는 1층 식탁공간이 위치하여 각기 다른 공간을 좌우, 위아래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각 실(침실 및 다락 등)은 1층 식탁 공간으로 창을 내어 식탁 공간 너머로 각각 다른 공간 간의 소통이 가능하게 하였다. 각 공간에서 다른 방이나 공간을 보는 씬이 집 내부의 모습보다는 외부의 공간을 보는 듯한 모습으로 연출하였다. 복도와 분리된 거실공간은 40cm정도 낮게 계획하여 공간의 아늑함을 살렸고 거실과 복도 벽 중간중간 문형태의 OPENING을 두어 복도, 옆이 트인 계단판 및 외부느낌의 벽돌벽이 연출된 장면처럼 보이기도 한다.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구조가 살아있는 빛이 아름다운 집

미래 후손들에게 지구를 조금 덜 사용하고 넘겨주는 것도 건축가의 몫이라 생각한다. 국내 건축의 실정상 실제 건물이 지어져서 20~30년을 넘지못하고 재건축 될 때 가장 쓰레기가 적게 나오는 재료를 선택하는데 먼저 초점을 맞추고 그러한 맥락으로 경량목구조를 선택했다. 물론 거주환경의 쾌적성도 관과하지 않는 항목이였다. 다만 옥상을 사용하기를 희망해서 옥상이 있을 스튜디오는 철근콘크리트로 계획하여 목구조건물과 철근 콘크리트가 옆으로 붙어있는 하이브리드 건축을 계획하였다.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Structure Diagram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건축내, 외장재를 선택함에 있어서 치장과 과장으로 구조를 가리지 않는, 건축 골조의 미를 그대로 살려주는 재료로 콘크리트, 벽돌, 목조, 스틸 등 가장 원초적인 건축재료를 사용하였고, 포인트 공간에는 마감을 하지 않고 그대로 노출하여 오히려 인테리어 효과와 비용절감 두가지를 만족시켰다. 노출된 자연 그대로의 재료들은 다른 생활 가구들과 매치함에 있어서도 어색함을 주지 않는다. 겨울 난방에서 조금 자유로운 2층 계단 및 복도의 공간은 따로 천정 마감을 두지 않고 사선의 지붕 구조재에 바로 석고보드를 붙여 도장마감을 하여 내부 사선의 공간을 연출하였다. 거실 내부의 노란벽은 천창을 통한 빛의 반사에 따라 주변 흰색벽을 여러가지 색으로 변화시켜 다양한 느낌의 색깔을 연출하고 있으며, 다양한 각도의 외벽창과 북측 천창은 집의 구석구석 밝고 따뜻한 빛을 유입시키고 있다.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4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3
 

 

균형과 조화, 실용성

mass를 디자인하며 좁은 대지, 한정된 규모에서 너무 돋보이거나 튀는 집이 아닌 조화롭고 편한한 집으로 보여주길 원했고, 작은 규모의 건물에는 어울리는 단순한 디자인에 균형감을 가질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남쪽에 위치한 스튜디오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사각box로 자리잡았고, 남쪽에 지어진 집과도 완충공간같은 역할을 할 수 있길 희망했다. 삼각형 모양의 주거공간은 북측 도로면에 위치하며 도로 쪽에 직각으로 경사를 두어 도로 측에서 봤을때 건물이 폐쇄적이고 위압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했다. 또한 흰색의 사각mass 와 삼각mass의 균형있는 결합은 조형의 단순미를 살린 디자인을 완성시켰다.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4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4 Section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4
Plan_1F


31ba1a9354b10f2018d2b78aa708da4a_1513584
Plan_2F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