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an chapel
본문
Design: B-oH
Architect: JongSang Oh
Location: Dangjin, Chungcheongnam-do
Site Area: 460㎡
Building Area: 269㎡
Total Floor Area: 997㎡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Exposed Concrete, Tile, Red Brick
Project Year: 2015
Photographer: Sun Namgoong
도안 예배당
사용자의 필요에 민감한 건축
모더니즘이 지향하는 추상, 순수. 그를 통한 미적 감흥이 커다란 동기임을 부인하지 않지만, 표현과잉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경계하였다. 동선을 예상하고, 빛의 양을 고려하고, 춥거나 덥지 않을까 노심초사 했다. 전등을 켜지 않아도 벽돌사이로 적당한 빛이 은은하게 들어오는 예배실, 프레임으로 감싸 외부이지만 내부처럼 아늑한 옥상정원, 도시의 길과 바로 연결된 저층부의 카페와 식당, 다목적 공간으로 계획된 그 밖의 실들, 크지 않은 도시의 중형 교회이지만 다양한 기능을 알차게 담아냈다.
Sketch


깊이감 있는 입면구성
깊이감 있는 입면의 건물은 뺀질뺀질한 커튼월 건물이 줄 수 없는 풍성한 입체의 느낌이 있다. 서부교회 건물에서 볼 수있는 격자 프레임은 차양으로, 옥상정원의 테두리로, 그 기능을 담아내면서 깊이감을 전해준다.



덜어내기
최소의 인테리어가 최선의 인테리어일 수 있다. 온갖 모양, 색깔, 패턴을 더하여 꾸미는 것은 눈을 피곤하게 하고 마음을 산만하게 한다. 하나의 면은 하나의 느낌이 좋다. 모노톤의 차분한 배경이기를 바랐다. 비어있어 더 풍요롭고, 적게 있어 더 세심하게 볼 수있기를 바랐다.


Section



재료와 디테일
내부와 외부의 주된 재료는 노출콘크리트(exposed concrete finish) 와 벽돌이다. 노출콘크리트는 덧붙이고 칠하지 않은 순수한 느낌이 좋다. 근육질 청년의 맨몸같은 느낌이랄까? 기와를 얹은 뾰족지붕 벽돌집에 대한 고정관념만 벗어버리면, 벽돌은 추상적인 형태, 미니멀한 조형과 꽤 잘어울린다. 견고함, 영속성, 살아있는 촉각을 느낄 수 있으며 구축방법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저렴하기까지 하다.노출콘크리트와 함께 사용하면 노출콘크리트의 도시적이고 차가운 느낌에 따뜻함을 입혀주는 미덕도 있다.■

Plan_1F

Plan_2F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