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COMMERCIAL

Photographer

윤준환

Location

경상남도 울산

Material

콘크리트

Double House

본문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Design: ON Architecture

Architect: WoongSik Jung

Location: Ulsan, Gyeongsangnam-do
Site Area: 253.5
Building Area: 144.38
Total Floor Area: 359.73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Stuco-Flex
Project Year: 2015

Photographer: JoonHwan Yoon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더블 하우스

건축물의 위치는 경사가 있는 혁신도시의 코너형 대지이고 북동쪽으로 멀리 산이 보인다. 또 상가형 주택(3층)블록과 일반 단독주택(2층)블록이 교차하는 공간이다. 경사를 활용하고자 1층 상가의 바닥공간을 코너에서 대각 방향으로 양분하고 바닥높이를 다르게 하여 공간의 가변성을 극대화했다. 3층 주택의 진입공간과 현관 그리고 거실에서는 북동쪽의 산이 조망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거실은 양방향으로 매스(mass)가 분절된 사이 영역에 배치를 시켜서 외부 데크와 연계시키고 자연환기가 항상 순환될 수 있도록 했다.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요즘은 1인 가구의 시대다. 하지만 울산이라는 지역에는 아직 1인 가구를 위한 양질의​ 주거가 전무하다. 이러한 시기에 임대 공간에 들어와 사는 사람들에게 질 좋은 공간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 특히 원룸이나 투룸은 개별성 및 사생활이 전혀 없다. 이 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단독세대 같은 진입공간과 독립성을 부여하고 싶었다. 이와 동시에 코너에서 구축된 중앙동선을 이용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자 했다. 3층 건축주의 주거 영역에서는 건축주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주방공간을 가장 좋은 영역에 배치시키고 싶었으며 거실과 주방 그리고 안방에서 이용할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Diagram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Diagram



설계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개념은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동선체계였다. 코너형 대지에서 사선으로 가로지르는 직선형 외부계단은 상가형 주택에서 보통의 건축주가 받아들이기 힘든 개념이다. 1층과 2층의 임대소득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 단독주택(2층)블록과 접하는 이 대지의 특성상 오히려 1층 상가도 독립성을 가지고 양분해 임대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양쪽 도로면에 모두 접하고 있으므로 상가 전체를 하나로 사용하는 것에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됐다. 이 계단을 이용하여 3층에 도달하면 먼 곳에 있는 산과 단독주택 블록 뒤쪽에 있는 가까운 산을 항상 바라 볼 수 있게 된다. 외부계단을 통하여 각 세대의 집으로 들어가고 그곳에서 다시 각 세대마다 외부의 테라스를 가진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공간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건축적 즐거움을 구축했다.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Section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Section


설계 기간 중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너무나 빠듯한 예산이었다. 건축주는 예산을 초과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고 이로 인해 우리는 설계기간 동안 철저하게 예산을 관리해야 했다. 모든 건축주들이 그러하듯 예산보다 좀 더 좋은 것과 좀 더 많은 것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이러한 건축주들의 생각을 잘 관리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예산 범위 안에서 중요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였다. 이 과정 속에서 건축주는 좋은 공간을 만들기 위한 본질적인 것에 최고의 우선 순위를 두어야한다는 우리 생각에 공감하여 주었으며 우리가 제안하는 것을 전적으로 신뢰하여 주었다.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Plan_1F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Plan_2F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b2a7aef5315f5da8ea308a118d6da7f2_1495760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