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RESIDENTIAL

Photographer

김종오

Location

서울

Material

벽돌, 목재

Marimba House

본문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Design: ISON ARCHITECTS

Architect: Jean Son

Location: Seodaemun-gu, Seoul
Area: 369.91
Project Year: 2015
Material : Stucco, Brick, Wood

Photographer:​ JongOh Kim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마림바하우스는 타악기 연주자의 집이자 연주 및 레슨공간이다. 연희동의 형성 초기부터 의뢰인 가족이 소유하고 있던 네 곳의 필지는 두개의 평행 도로 사이에 있고 그중 큰 도로쪽의 두 필지에는 이미 할머니와 부모가 각각 거주하고 있다. 우리는 향후 전개될 네 필지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마스터플랜을 제시했고 그 전체의 시작으로 마림바 하우스를 제안했다.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프로젝트의 구조를 목조로 하기로 먼저 설정했다. 빠른 완공을 바란 의뢰인의 요구때문이기도 했지만 소리통으로써 이상적인 구조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네 필지의 귀퉁이 쪽으로 사각 입방체가 위치하고 그 입방체를 완만한 경사 지붕이 끼고 있어 네 필지가 완성될 때 네 개의 입방체들이 모퉁이를 이루고 그 사이에서 경사 지붕들이 만나 중앙에 사각형의 중정이 형성되도록 마스터플랜이 짜여 졌고 그 시작이 마림바하우스가 되었다. 입방체에는 레슨실 및 방들이 위치해 있으며 넉넉한 연습공간을 일층에 ,그리고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이층에 거실을 배치했다.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목구조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연희동의 강한 재료적 콘텍스트를 이루는 벽돌로 경사지붕 주위를 둘러싸는 동시에 입방체는 드라이비트로 처리했다. 주변의 건물 대부분을 이루는 적벽돌을 쓰는 대신 시멘트 벽돌을 사용했으며 대신 입방체를 강한 적토색으로 처리하여 주변 맥락과 한박자 어긋난 대응을 시도하였다. 반면 내부는 전체적으로 목구조를 강하게 드러내며 합판으로 마감하였다.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Section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Section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상당히 넓은 면적의 정원과 건물 사이에 1.8m 폭의 캐노피 루버를 2.2m의 나즈막한 높이로 설정하여 정원과 건물의 시각적, 공간적 관계설정을 시도하였다. 향후 네 개의 필지가 완성되었을때 가운데의 중정을 만들기위해 사선으로 잘리워 나간 덩어리의 남은 부분은 넉넉한 나무데크로 대체하여 캐노피와 함께 내부의 목구조를 암시하도록 하였다.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Plan_1F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Plan_2F

 

 

한편 적토색 입방체와 경사지붕이 접하는 길이는 40cm폭의 선형 천창을 두어 두 개의 상이한 덩어리가 만나는 방식을 설정함과 동시에 자못 깊은 공간에 충분한 채광장치가 되도록 하였다. 연희동 대부분의 주택들은 높은 담장을 가지고 있어 도로와 폐쇄적 관계를 이룬다. 우리는 10mm 두께의 평철을 10cm 간격으로 각 상황에 대응하는 다른 높이로 배열하여 공간적 투과성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즉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배열된 평철 담장은 정원을 시각적 으로 동네사람들과 공유하는 동시에 내부가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작용한다. 또 엄정한 수직 배열을 통해 저층부에 리듬을 부여하기도 한다. ■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3de773792e91957793ba22ecd47a5fca_1494810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