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CULTURAL

Photographer

박완순

Location

경기도 장흥

Material

시멘트 우드

Song-chu Bending Band

본문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Design: L’EAU Design

Architect: DongJin Kim

Location: Yangju, Gyeonggi-do
Site Area: 8,116
Building Area: 559.76
Total Floor Area: 790.45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Exposed Concrete
Project Year: 2013
Photographer:​ WanSoon Park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Site Plan

 

 

한적한 산책이 있는 특별한 장소로서의 마케팅

계획대지는 북한산자락 송추계곡 초입에 위치한다. 때문에 주말 평일 할 것 없이 수많은 등산객들이 외지로부터 드나든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은커녕, 등산로 변에 열지어선 식당의 평상들만이 유일한 휴식처다. 게다가 등산객들이 늘어나면서 자리를 빌려주고 쉬도록 유도된 인색한 등산로변의 상업화가 점차 더욱 가속화 될 태세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우리는 송추계곡만의 특별함을 보일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자는 소박한 기획에서부터 시작하길 제안했다. 먼저 그 곳의 뿌리를 내리고 살아 나가야 할 인근 주민들은 물론 그 곳을 지나치는 등산객들과 더 나아가 특별한 발걸음을 유도할 수 있는 작은 휴게공간을 계획했다. 결국 건축주가 이 땅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뜻과 의지만 있다면, 문화적 여가를 필요로 하는 도시민들에게 복잡한 도시의 삶으로부터 벗어나, 한나절 머물고 싶은 예술 문화 공간으로 새로운 장소 마케팅이 가능할 것이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Sketch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마을의 히스토리를 통한 스토리 구축
아버지가 40년간 키워 보호수목으로 지정될 만큼 수려한 자태를 뽐내는 6그루의 뽕나무는 이 땅의 자랑이다. 게다가 마을에는 다양한 수종들의 나무들과 전적 기념비, 그리고 오랫동안 고유의 성격을 지녀온 흔적들이 많지만 마을 이주단지 계획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사라질 판이다. 땀과 애정으로 가꾼 기존의 나무들과 옛 간판, 고목나무 등 그리고 집주변의 오래된 이야기를 보존하면서 앞으로 조성될 마을 이주단지의 모범적 사례를 보이겠다는 건축주의 강한 의지가 있기에 마을의 히스토리의 발굴과 재조명은 새롭게 쓰여질 이야기의 씨앗이 될 것이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Elevation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위상학적 세팅_Topological Setting을 통한 Self Mapping 자기 지도그리기

뜻깊은 목표 이외에는 아직은 불투명한 마스터플랜을 가지고 있는 송추 농원. 이 땅은 계획된 용도에 따라 대형 건축물로 일시에 구축(Construction) 하는 개발 보다, 장차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할 열린 준비, 즉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위상학적 세팅(topological Setting)으로 필요에 의해 스스로 매핑 할 수 있는 건축적 구조가 중요하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Mapping_Setting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Site Plan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8 

 

영원히 완전함을 추구하지 않는 건축.

다양한 이야기와 상황들을 스스로 그려낼 수 있는 막연한 시뮬레이션은 그리드 없는 지도그리기(mapping)과 잠재적 지형의 편집을 통해, 마을환경 진화에 따른 미완의 시나리오를 만든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Narrative Frame_소유에 대한 경계를 형성해왔던 마을 담장의 역할은 이제 지역사회와 보행자에게 새로운 휴식처와 놀이터로 개선되어, 상호간의 보이지 않는 행위 교감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Editing Story_한 번 구축되면 고정된 일상의 패턴을 강요하던 물리적 벽들이 연속적인 경관을 담는 열린 프레임으로 넓게 펼쳐짐으로써 사람들의 다양한 일상의 이야기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편집한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Program Banding_등산로 초입으로부터 송추계곡의 이미지를 새롭게 그려나갈 수 있도록 조각조각 파편화 된 새로운 기억들을 생성하고 이벤트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Banding하여 단조로울 수 있는 등산로에 보다 다양하고 연속적인 Story를 제공한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Fitting Plug_이미 자연에 존재하는 지층과 나무 한 그루도 소중히 간직하고, 그 위에 인공 지반으로서의 Bending Band를 중첩시킴으로써 지형이 갖는 힘의 반응을 유도하고, 주민들과 등산객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쌍방향의 경계를 조율하는 Fitting plug를 장치하여 지층들 간에 능동적인 조절과 대응을 일으킨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Archi-drawer_다양한 일상의 잡동사니를 담기도 하고, 우연한 이벤트를 끄집어 낼 수도 있는 건축적 서랍. 어떠한 형태라도 수용 가능한 Bending Band의 자율적 프로그램 조절 기능은 최소한의 고정성과 최대한의 유연성을 결합하여 능동적으로 이야기를 증식시키고 우리의 기억을 진화시킨다.  

 

 

42babe37f4e586c23dbcf1673f8e5eb6_1490679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