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COMMERCIAL

Photographer

박완순

Location

서울

Bati_ㄹ

본문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Design: L'eau Design

Architect: DongJin Kim

Location:​ Gangnam-gu, Seoul

Site Area: 274.62㎡ 

Building Area: 742.88㎡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Exposed Concrete, Floor-Granite Stone

Project Year: 2008

Photographer: WanSoon Park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Concept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Sketch


상권의 확대와 주거지의 운명
중산층이 몰려들었던 압구정동과 첨단 비즈니스 타운을 형성하고 있는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한 삼성동 사이에서 청담동은 비교적 한산한 주택지로 머물러 있다가 서서히 주변 상권의 여파로 골목골목이 조금씩 변모하는 중이다. 아파트 및 지가의 시세와 학군의 유리함 때문만이 아니라 환경면으로도 아직까진 살기 좋은 주거지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지구단위계획 등의 철저한 도시계획에도 불구하고, 원치 않는 상권의 타깃으로 거주민들을 위협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주거지에 침투하기 시작하는 상권의 확대가 초기에는 지가상승과 같은 부동산적 가치의 상승으로 거주자에게 좋은 소식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무분별한 상점들의 난립이 계속적으로 진행되면서 거주자들이 더 이상 살 수 없는 동네가 되어버리는 사례를 경험했다. 지금은 그 동네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가진 주거지들 중의 하나인 반포 서래마을과 신사동의 조용하던 가로수길도 거대조직의 유명 브랜드 상점과 무분별한 상점들이 속속히 침투하면서 장래를 예측할 수 없는 과정을 목격하고 있다.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Sketch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Sketch

근린생활시설이란 ‘주거지 내에서의 다양한 편익시설과 기본적인 상업시설 등을 제공하는 시설로서 일상적인 주거 생활과 밀접한 시설’을 일컫는 말이다. 근린생활시설은 주어진 법규에 충족하고 수익성만 보장된다면, 최대한의 용적과 그에 따른 임대 수익을 목표로 하는 사업적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분별한 상점들의 난립으로 거주자들의 질적 생활환경을 저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거주 환경의 근린성 보장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과 더불어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상업적 기능 및 문화와 생활패턴을 수용할 수 있는 근린생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공이 배려된 수규모 근린 생활 시설의 계획과 연구는 가로공간과 건축물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내 주거지에서 가로공간과 건축물의 상호작용을 하는 이러한 근린생활시설은 가로로부터 접근성이 좋고, 수직적 층별이 단절된 구조는 탈피해야 하며, 유동적 흐름에 따라 교류 할 수 있는 소통의 역할을 해야 한다. 계단과 경사로의 적절한 활용으로 건물건체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구조체계를 마련하여 선큰, 테라스, 옥상정원, 메자닌 등의 인공적 지면 활용을 극대화해야 한다. 이에 따라 내-외부 공간 안에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볼륨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건축적 전력을 가지고 계획된 근린생활시설은 주거민의 문화적 편익과 서업적 욕구 충족의 두 마리 토끼를 제공할 것이다.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Section



79e8fceb2e3d7fdf2142d74a5c39558a_1489991


연속된 공간의 수직적 확장
융통성 있는 수직적 관계와 입체적 배치 전략으로 임대용 건물도 프로그램밍을 한다. 층별 단절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수직적 이동과 결합, 그리고 독립 등을 고려한 공간배치를 한다. 지하 층은 선큰이 가능한 지층레벨의 연결로 또 하나의 접지층을 확보한다. 지상 2층은 내부의 공동 홀을 거치지 않고 독자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발코니가 확장된 테라스를 통해 접근한다. 지상 3층은 메자닌으로 오픈된 공간을 통해 2층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4층, 5층은 옥상 정원을 중심으로 복층형 공간을 만든다. 지면의 효용성 있는 적층 방안으로 자연의 땅만큼이나 다양한 인공지면의 사용은 공간을 풍요롭게 할 것이다. 건물 내부의 원할한 공간적 흐름은 볼륨과 프로그램을 휘감는 면의 연속성으로 끊어진 주변 관계를 돈독히 한다.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