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RESIDENTIAL

Photographer

박영채

Location

서울

Lilac House

본문

f1d59c4f4bf3b317ccd3da2b10f9e9a3_1445412 

 

Design: Jeong Jaeheon Architect
Location: Myeongnyun-dong, Seoul
Site Area: 306㎡ 
Buliding Area: 152㎡
Total Floor Area: 254㎡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Brick, Zinc, Paint, Cryptomeria, Patterned Wood  

Project Year: 2015
Photographer: YoungChae Park​ 

 

 

f1d59c4f4bf3b317ccd3da2b10f9e9a3_1445413 

 

라일락 화가 도상봉
도천 라일락집 터는 도상봉 화백이 기거하던 곳이자 우리 나라 근대 서양화의 산실이다. 1930년 이후로 이곳에 터를 잡고 생활하며 그림을 그렸고 당대의 화가 김환기 천경자 등과 교류하였고 초기 학생들을 모아 근대 서양화를 가르쳤던  곳이다. 선생이 작고한 이후에도 후손들이 이곳에서 4대 째 살아가고 있다. 고등학교 동창의 인연인 도상봉의 손자 도규영은 부모님 모시고 딸과 함께 이곳에서 살아왔다. 주변이 밀도 높은 다가구 다세대로 급속히 변해 주거환경이 열악해지고 70년대 지은 집은 낡고 노후하여 이곳에서 이주하기를 원했다. 살아온 근거지의 의미와 중요성을 감안하여 원래 집터에 도상봉선생의 작은 기념관을 겸한 살림집을 지을 것을 제안했다.

 

 

f1d59c4f4bf3b317ccd3da2b10f9e9a3_1445413 

 

성균관과 창덕궁 사이
집터는 성균관과 창덕궁 사이 계곡에 위치한다. 유적지 옆이라 세월이 만든 동네 풍경과 분위기는 서정적이고 차분하다. 반면 집이 면하는 주변 풍경은 다양한 크기의 볼륨과 재료로 혼합되고 값싼 산업재료로 무질서하게 덧붙여지고 증축되어 산만하다. 혼재된 풍경 속에 집은 간결하고 존재감 없는 배경으로, 주변의 시각적 소음을 제거하는 흡음재로, 성균관의 풍경의 근경으로 역할하기 바랐다.

 

 

f1d59c4f4bf3b317ccd3da2b10f9e9a3_1445413 

  

배경과 오브제
살림집과 도상봉 선생의 기념관을 겸하는 집이라 양면적인 공간 구조와 배치 그리고 볼륨으로 계획했다. 주변 건물과 가까이 접하는 살림집은 배경과 같이 간결하고 드러나지 않으며  ㄱ형상으로 안마당을 품고 있다. 그 반면 마을과 성균관으로 열린 면에 접하는 도상봉선생 아틀리에는 가로변을 따라 만들어진 이형의 작은 오브제이다. 외부로 드러나고 빛이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표정이 바뀌는 집이다. 오브제성이 강한 작은 집은 과거 도상봉화가의 작업실의 이미지를 새롭게 재현하려는 의지이며 무표정한 동네에 생기와 표정을 부여한다.

 

 

f1d59c4f4bf3b317ccd3da2b10f9e9a3_1445413 

f1d59c4f4bf3b317ccd3da2b10f9e9a3_1445413

1st Floor Plan

 

 

 

f1d59c4f4bf3b317ccd3da2b10f9e9a3_1445413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