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락가든 Cafe rockgarden
본문
Design: KOOJOONGJUNG ARCHITECTS
Designer: JoongJung Koo
Site Area: 1,826.0㎡
Building Area: 210.40㎡
Total Floor Area: 198.51㎡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Brick, Exposed Concrete
Project Year: 2021
Photographer: Kyung Roh
Site Plan
풍경의 보존
심학산 밑자락, 돌곶이 꽃마을의 완만한 경사지에 위치한 대지는 돌곶이 마을에서도 유명한 정원으로서, 수려한 경관을 뽐내고 있다. 이미 다른 건축가에 의해 계획된 최초의 배치는 완만한 경사를 가진 부지 전체를 토목 공사를 통해 두 단의 평평한 대지로 조성하여 도로와 직접 만나는 첫 번째 단에는 주차장을, 그리고 약 1m 높이의 단차를 가진 두 번째 단에는 건물을 배치하는 기능적인 계획안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에게 새롭게 의뢰되면서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현장 답사를 통해 기존의 대지가 가진 풍경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건축을 만드는 것이 이 장소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임을 확신하였다. 그래서 기존의 수려한 야생 정원을 최대한 보존하는 동시에 부지를 평탄하게 조성하는 토목공사를 최소화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출발점이 되었다.
Elevation
Sketch
배경으로서의 건축
기존 야생 정원의 풍경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하여 대지 내 이미 정원이 훼손된 대지 경계의 모서리에 건물을 배치하고, 매스의 형태는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하여 건물의 최대한 넓은 면이 외부의 풍경과 마주하도록 하였다. 또한 초기 배치계획에서 의도한 기존 야생 정원의 최대 보존 및 외부공간과의 최대 접촉 콘셉트를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건물의 뒤편의 기존 잔디마당과 바위들을 보존하기 위하여 1자형 매스를 ㄱ자의 형태로 변형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물이 외부와 접하는 길이가 늘어남과 동시에 방문자로 하여금 움직임에 따라 마주하는 외부 풍경이 변화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최종적으로는 ㄱ자 형태의 매스를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의 매스로 다듬어서 외부 공간을 부드럽게 감싸도록 하여 건물이 배경으로서 자리 잡도록 의도하였다.
Elevation
Elevation
땅과의 관계
필로티의 계획으로 건물의 주 공간이 도로 레벨로부터 띄워져 전면 도로에서 (상업시설로서) 더욱 인지성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2층으로 들어올려진 주 공간이 땅과의 관계를 상실하지 않도록 하고 싶었기에 경사진 대지의 높은 쪽(약 2m 높이)에 건물 매스의 일부를 걸치게 배치함으로써 필로티로 인해 떨어진 땅과 건축을 자연스럽게 이어주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방문자들은 직통계단이 아닌 기존 지형의 경사를 이용하여 2층으로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건축적 산책을 의도하였다.
Diagram
Sketch
건축의 형태
대지 내 기존 자연 요소들을 보존하는 배치계획을 통해 I자형의 건물 매스가 ㄱ자 형태로 귀결되었고, ㄱ자 매스를 더 자연스러운 곡선의 형태로 다듬음으로써 매스의 형태가 결정되었기에, 지붕의 형태는 내부 공간의 볼륨과 분위기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되었다. 처음부터 평지붕은 배제하고 경사 지붕만을 고려하였는데, 이는 2층의 구조형식을 상대적으로 가벼운 가구식 구조(철골)로 결정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와 눈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외쪽지붕으로 디자인하여 건물에 들어섰을 때 내부 공간의 천장이 한쪽으로 높아지면서 더욱 개방감을 느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외부 풍경과 마주하는 쪽으로 낮아지는 천장이 시선의 분산을 막고, 경사진 처마선을 따라 시선을 창밖으로 유도하여, 외부의 풍경을 펼쳐진 시선으로 온전히 향유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즉, 방문자로 하여금 경사진 천장에 의한 내부 공간의 수직적 개방감과 외부로 뻗어 나가는 수평적 확장, 이 두 가지 공간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건축의 형태를 결정하는 동기였다. ■
Section
Plan _ 2F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