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OFFICE

Design

studio VASE

Photographer

박우진

Location

서울시 중구

Material

리노베이션

BADA Design Atelier

본문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5
 

 

Design: studioVASE

Architect: Bumjin Jun, Byungik Jang, Jangeun Won 

Collaboration: GyeongOk Sin(Sin Gyeongok Atelier)

Location: Jung-gu, Seoul

Area: 217.82
Structure: Renovation

Finish Material: Wood Flooring, Tile, Hardner

Project Year: 2016

Photographer: Woojin Park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장충체육관을 거쳐 다산팔각정에 이르는 다산성곽길. 언덕배기 길머리에 붉은 벽돌로 지어진 오래된 건물 사이로 빼꼼 보이는 하얀 건물이 도예가 이헌정의 두 번째 캠프, 바다디자인 아틀리에이다. 여행하듯 예술에 접근하는 그의 일상을 닮은 아틀리에는 시원하게 펼쳐진 윈도우 안으로 그의 작품들이 드러나 보여 누구나 기웃거리게 만든다. 이헌정 작가의 기존 양평 A캠프는 그간 굵직한 작업과 전시를 진행해왔지만, 워낙에 만날 이도 많고 참여하는 프로젝트가 많은 데다, 사람 좋아하는 작가의 성향 때문에 서울로 나왔다가 양평으로 돌아가기 힘든 날도 더러 있었다. 그래서 결정하게 된 것이 갤러리 겸 카페 그리고 게스트하우스인 서울의 B캠프로 그의 신유목 생활을 시작하는 장소인 셈이다. ​아틀리에를 만들기 위해 건축박사학위까지 받았다는 그의 열정은 유명한 일화다.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자유로운 삼성들의 합주

작가가 아홉의 감성과 하나의 이성으로 작품을 탄생시킨다면, 디자이너는 그 반대의 작업을 한다. 감성으로 전체공간의 이미지를 그려낸 후, 이 공간을 어떻게 전개시키고 구조는 어떻게 되어야 하며 견적은 얼마나 될 것인지, 그 외 나머지 작업이 이성적인 작업이다. 실제로 프로젝트에서 손을 댄 부분이 많지 않다.  손 가는 대로 작품을 빚어내는 건축주 겸 클라이언트 이헌정, 틀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감성의 신경옥 스타일리스트 이 둘과 함께 그야말로 즐기는 것처럼 작업했다.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공간 모티브가 된 도예가 이헌정의 여행 같은 삶

도예가 이헌정의 삶과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펼쳐든 작품집에는 그의 손이 만들어내는 작품을 순수한 노동의 결과로 치부하고 있었다. 그에게 있어 물레질을 하는 행위는 쓸모 있는 무엇을 만들어낸다기보다는 어느 한 곳의 감각을 그저 집중시키는 행위였다. 그런 노동을 통해 정신적 자유로움 즉, 여행을 시작한다. 이 여행은 자유를 향한 정신적인 여행이 되기도, 그리고 영감을 찾는 진짜 여행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이 바다디자인 아틀리에의 영감을 위해 이헌정 작가는 아일랜드로 여행을 다녀왔다고 한다. 아일랜드로 이민 간 미국대학원 시절의 은사를 만날 겸 떠난 여행은 그곳의 기억과 정취를 품고 돌아왔다. 푸른 빛깔의 세면대나, 빨갛고 노란 컬러의 테이블 등 공간 곳곳에서 느껴지는 이국적인 풍취는 그 여행의 흔적들이다.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efore Renovation


35년 된 가옥을 고치는 일
35년 된 집을 마주했을 때는 그러한 이국적인 분위기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걱정될 만큼 폐쇄적이었다. 주택이 마주한 성곽길이 옆으로 병품 처럼 이어져 운치는 있지만 길을 따라 포장이 제대로 되지 않은 도로가 이어질 만큼 다산성곽길을 끼고 들어가는 이 장소는 시간이 멈춰있는 듯했다. 이 시간과 공간을 다른 곳으로 여행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집의 골조를 남겨놓고 창을 내고 흰 벽으로 칠하고, 계단을 내려가 지하에는 벽을 뚫어 창을 내니 창문 끝자락에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눈에 들어온다. 물론 창문으로 햇빛이 들어와 지하 같지 않은 지하공간이 만들어진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삐뚤삐뚤한 계단은 오히려 서정성을 더한다. 위층은 하얀 모자이크 타일과 흰 페인팅의 벽, 그리고 리넨에 햇빛이 더해져서 더 이국적인 느낌을 자아내는 게스트하우스로 꾸며졌다. 마침내 햇빛을 받아 하얗게 빛나는 집이 완성되었다. 공간 사이사이로 그 햇빛을 머금은 작품들이 사람의 눈길이 닿지 않을 때면 속닥거리며 얘기할 것 같은.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신경옥 그녀의 손실
이헌정 작가의 아일랜드 여행이 모티브가 되었고 전범진 디자이너가 그것을 풀어내었다면, 공간의 감성을 극대화한 이는 스타일리스트 신경옥이다. 전범진 디자이너와 이성당, 오스테리아 마티네 등을 함께 작업해 온 그녀는 도면이나 계산보다 감성과 직관이 더 날카로운 인물이다. '그냥 툭'하고 걸어놓은 리넨에서도 이국적인 정취가 나는 것을 보면. 그렇기에 이 작업도'여기에 문을 뚫으면' '여기에 계단을 두면' 하는 식으로 무심하게 뜯고 걸고 바르며 진행되었다. 그래서 더욱 자연스럽고 원래 그랬던 듯 느껴진다.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유목적 일상
이헌정의 아내 조현주 실장이 운영하는 이 공간에서는 하루에 한 가지씩 여행하면서 만난 브런치 메뉴를 선보인다. 도자기 접시로 꾸며진 테이블 매무새도 보는 사람을 설레게 한다. 작가의 여행에 동참하는 공간, 바다디자인 아틀리에는 안주하지 않고 고정되지도 낳은 세 명의 작가와 디자이너 그리고 스타일리스트의 유목적 삶의 성격이 깃든 듯 보인다. 결과를 확정짓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그들의 멋이 배어나는 공간이다.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bac322bc473bbd13b78422a97f224305_1519266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