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MEDICAL

Photographer

신경섭

Location

서울시 강남구

ID Hospital

본문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6
 

 

Design: L’EAU Design

Architect: DongJin Kim

Location: Gangnam-gu, Seoul
Site Area: 631.30㎡
Building Area: 373.49㎡
Total Floor Area: 6,909.21㎡
Structure: R.C, Steel
Finish Material: Brick, Perforated Panel
Project Year: 2015

Photographer: KyungSub Shin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6
 

 

아이디 병원 (PLASTIC EDITOLOGY_Gradation Tower)

지금까지 아름다움은 하나의 오브제가 자연의 숭고함을 완벽히 재현하거나 황금비율같은 이상적인 미적 기준에 도달하는 것이었다면, 현대의 예술은 이전의 아름다움과는 거리를 두는 듯하다. 근대 건축가 아돌프 로스는 ‘장식은 죄악이다’라며, 시대에 맞는 건축의 미적 가치에 대해 논한 바 있다. 하지만 우리 도심의 빌딩숲을 이루는 초고층 건물들을 보면 제각기 독특한 조형미와 무도회장을 방불케 하는 화려한 이미지만 만들어낼 뿐, 정작 현대가 요구하는 아름다움의 내적 가치에는 무심하다.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6 Elevation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6


대지는 강남대로 한복판, 고층 업무시설 열들 속에 위치하고 있다. 최근 한국 성형의료기술의 세계화로 강남일대에는 하나의 거대한 빌딩에 성형외과와 그와 관련한 의료시설들이 연계되고, 뷰티와 케어까지 융합된 토탈 관리 프로그램을 갖춘 새로운 개념의 성형외과 병원들이 세워지고 있다. 이 토탈성형센터는 단일진료과목을 다루는 기존의 병원시설물이나 대학병설의 종합병원과는 또 다른 건축유형이 요구된다.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각각의 기능에 충실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내부와 외피를 함께 디자인하면서 특정한 기능의 공간이 한편으로는 고유한 물성의 외관을 가지도록 각각의 볼륨들을 계획하였다.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6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6


이렇게 형성된 프로그램 띠(Programmatic Band)들은 수직적으로 자유로운 적층 구성의 여지를 준다. 이는 입원/진료/수술공간의 규모변경과 사업운영의 변화 등 사용자 및 시간의 변화와 함께하는 적극적인 건축의 대응을 의미한다. 과거 미스의 역사적인 씨그램 빌딩이 유니버셜 스페이스(Universal Space)라는 개념으로 중성적인 건축을 통해 내부공간의 변화를 꾀했다면, 이 프로젝트에서는 특정 공간의 성격을 건축 스스로 부여하면서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갖는 건축이다.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이 프로젝트는 수직적 적층배열의 유연성을 통해 진화하는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편집 가능한 그라데이션 타워(Editologocal Gradation Tower)를 제안한다. 타워의 몸체는 16개 층을 메디텔과 뷰티케어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하되, 최상부에는 로비역할을 하는 루프라운지(Roof Lounge), 그 하부에 상담과 전문적 컨설팅을 위한 메디텔 라운지(Meditel Lounge), 지하에 뷰티-케어라운지(Beauty-Care Lounge)를 두었다. 3개의 라운지는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고려하고 분산적으로 배치하여 고층빌딩의 원활한 순환을 돕는다. 복잡할 수 있는 지상1층은 자유롭게 접근하는 홀로 열어두었다. 또한 프로그램 띠가 만드는 가소성 있는 배열의 그라데이션 스킨(Gradation Skin)은 내부프로그램의 성격 혹은 수직적 배치에 따라 변화하며 환경에 적응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실제로 지어지는 과정에서도 두 차례의 프로그램 변경에 따라 적층배열을 바꾸었다.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이제는 한 벌의 정장을 잘 차려 입은 고형적 건물에서 탈피하여, 부분적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건축의 내적 프로그램이 스스로 외적환경의 변화와 함께 반응하는 건축이 필요하다. 이전의 고층빌딩은 외부로 보여지는 스킨에 치중하여 내부의 프로그램과 관계없이 일률적인 시스템 안에 사용자가 내부적으로 적응하도록 하는 일정한 틀로서의 한계를 가졌다면, 이 건축은 프로그램의 변화와 삽입에 따르는 가소적 편집을 건축적으로 가능하도록 한다.​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현대의 미적가치는 선택적 가치를 추구하며, 끊임없는 변화에 대응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고정된 통일체이기보다는, 부분으로서 즉각적으로 변화에 반응할 수 있는 가소적인 편집이 가능한 살아있는 몸체를 요구한다.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Plan_1F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Plan_2F


889a27d1f11ac601d02d9e9c7de4f292_1516867
Plan_12F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