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RCHITECTURE > RESIDENTIAL

Design

A.N.D

Photographer

신경섭

Location

강원도 속초

Material

콘크리트

Voidwall

본문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esign: A.N.D

Architect: EuiYeob Jeong

Location: Sokcho, Gangwon-do

Site Area: 285.4㎡

Building Area: 142.56

Total Floor Area: 136.23㎡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Exposed Concrete 

Project Year: 2013

Photographer: KyungSub Shin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Site Plan



발코니집
한국의 현대 주거공간의 특이점 중 하나는 발코니 공간이다. 발코니는 내-외부를 연결하는 완충공간으로서 뿐 아니라, 집의 내부공간 경험에 있어서 그 역할이 중요함에도 건축적으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대체로 발코니는 내부공간이 확장되며 곧 사라지거나, 잡다한 기능을 수행하는 보편적이면서 무의미한 공간이었다.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iagram


이 건축적 요소를 보너스가 아닌 집을 구축하는 본질적인 요소로 주목하고자 했다. 이 집의 발코니는 ‘비어진 벽(Voidwall)’으로서 내부공간을 분할하고 각 실들 사이의 관계맺기를 주도한다. 하나의 실은 하나의 발코니를 가지고, 집은 발코니들의 성격으로 규정된다. 발코니의 다양한 모양과 이질적인 마감재료의 사용은 극히 절제된 내부공간의 단순함에 대조되어 선명히 드러난다.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iagram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Section


발코니로 나눠진 각 방들은 대형 미닫이문을 열어 마치 거실의 일부처럼 통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1층은 하나의 공간으로 쓰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의 공간으로도 분할이 가능한 가변성을 갖는다. ‘발코니(Voidwall)’ 또한 거주자의 삶의 변화를 반영하며 다양하게 쓰여질 것이다.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Plan_1F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Plan_2F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dcf4ad8eec514babc467681d5ed07276_1499843

첨부파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MOST VISITED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