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ma House
본문
Design: UTAA COMPANY
Architect: ChangGyun Kim
Photographer: SeWon Park
이 주택은 부모님을 모시는 건축주 형제를 위한 집이면서 동시에 영화 업역의 홍보일을 병행하는 작업실이다. 도로에 면한 북측에서 소공원에 면한 남측으로 경사가 진 대지조건에서, 건축주는 진입이 쉬우면서 남쪽의 공원 조망과 햇빛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희망했다. 또한 긴 실내 동선보다는 단순하고 효율적인 동선을, 클래식한 외관 보다는 현대적인 모습을 희망하였다.
대지를 높은 쪽과 낮은 쪽으로 구분하고 건물을 북측 높은 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마당의 사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햇빛이 강한 남쪽면은 영화 필름의 음영처럼 다양한 깊이감이 느껴지도록 계획하였다. 내부는 부모님과 건축주가 서로의 삶을 존중하도록 1층은 부모님, 2층은 형제의 개인 공간과 작업실로 분리하였다. 함께 할 수 있는 공용공간 중 부모님과 만나는 거실과 식당은 1층에 배치하고, 손님을 만나는 응접실은 작업실과 인접한 2층에 두었다. 단절될 수 있는 가족의 생활 패턴은 1층 거실과 2층 응접실을 복층형으로 하여 수직이동 동선인 계단을 중심으로 소통하도록 유도하였다. 여기에 2층과 연결되는 다락공간은 흑백으로 구분하여 작업 보조공간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하였다.
각각의 공간은 서로 평행한 5개의 2X6 경량목구조 벽체로 구획하면서 구조적 역할을 담당하고, 정면 파사드의 조형성을 솔직하게 구축 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파사드는 사각의 프레임에 벽면과 천장면으로 사선의 경사를 다양하게 주어, 시간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표정을 가진다. 동시에 사선의 깊이감은 내부에서는 다양한 데크공간을 가지며 공간에 활력을 주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햇빛의 각도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사선의 벽과 천장을 통해 때로는 비를 피하고, 기술적으로는 지붕의 물을 처리하는 설비장치를 숨기고 있다. 이는 경량목구조 벽체가 가지기 힘든 입면의 풍성함과 기능적 문제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건축적 해법이다.
각각의 공간은 단순하다. 하지만 도로 측에서 정면 파사드, 그리고 내외부에서 다양하게 변화하는 공간들은 집 전체를 풍성하게 만든다. 모든 공간에는 자연스럽게 빛이 유입되고, 그 빛은 차양과 깊은 벽으로 인해 각 공간에 다양한 표정과 성격을 부여한다. 이 주택은 영화 필름처럼 평면적이고 단순한 프레임을 가지지만, 빛이 투영될 때 본래의 음영과 깊이감을 드러내며 주변에 풍성함을 투영한다. ■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