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e 1735
본문
Design: A.M architects
Architect: TaeYun Kim
Location: Bukgu, Daegu
Site Area: 660.2㎡
Building Area: 287.34㎡
Total Floor Area: 498.07㎡
Structure: R.C
Finish Material: Exposed Concrete, Zinc Panel, Q block
Project Year: 2017
Photographer: JeongSik Mun
3층규모의 이 건물은 전기변환장치 등의 제조와 도매사업을 위주로 하는 중소기업사옥으로서 여러기업들의 물류센터가 자리잡고 있는 대구종합유통단지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 계획방향의 주안점은 형태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중소기업의 이미지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것과 기능적으로는 작업장과 사무공간의 동선을 적절하게 조닝하는 것이었다. 건물은 직사각형의 대지에 두 개의 대비되는 볼륨을 코어를 중심으로 ㄱ자형태로 앉혔다.

가로에 가까이 면해있는 인접건물들과는 달리 대지전면에 완충공간을 설정하고 진입공간에서 이어지는 1층 하부공간을 필로티화 하여 보행 및 차량의 직관적인 대지로의 진입을 유도하였다. 계단실을 포함한 코어는 평면의 중심에 있어 작업장과 사무공간을 유연하게 이어준다. 주요 프로그램은 2개층 높이의 높은 천장고를 가진 1층의 작업장과 랩실, 남측으로 개방된 필로티상부에 설치된 2개층의 사무공간, 회의실 등이다. 각각의 프로그램들은 코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1층 홀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천장의 간접조명을 따라 옥상정원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두 개의 볼륨박스, 색채와 물성의 대비
주요외피를 구성하는 마감재는 노출콘크리트와 아연도금된 골강판이다. 노출콘크리트로 구성된 필로티 상부의 ‘비중력적인 볼륨-Floating Box’과 짙은 색감의 골강판으로 대지에 깊게 ‘안착된 볼륨-Gravity Box’의 조합은 재료의 물성에서 느껴지는 원초적인 질감의 차이와 색감의 대비를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그러한 물성의 대비는 내부공간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다소 거친듯한 노출콘크리트 벽면과 매끈한 대리석타일, 콘크리트 면처리된 회색빛 천장과 매끈한 화이트 도장, 투명에폭시로 마감된 자유로운 문양의 바닥과 규격화된 폴리싱타일, 유리와 철제프레임으로 짜여진 칸막이벽과 자작나무합판으로 제작된 가벽형식의 가구들과 같은 대비를 통해 ‘감성있는 공간’을 표현하고 싶었다.
Sketch
가로를 따라 길고 낮게 설치된 블럭가벽, ‘부유하는 튜브’형태로 전면으로 길게 돌출된 비중력적인 볼륨-Floating Box, 땅에 단단히 고정된 셑백된 중력적인 볼륨-Gravity Box 은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속적인 형태로 중첩되어 있다. 이러한 각기 다른 비례감을 가진 면의 겹침은 계획초기에 공간의 깊이감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용된 것이다. 켜의 겹침에 의한 외부공간의 깊이감은 다양한 건축적장치를 통해 내부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